증여세법에 따라 일정 금액 이상을 증여받은 경우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 신고 및 납부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증여세 신고, 증여세 신고 기한, 증여세율, 증여세 공제, 온라인 증여세 신고, 증여세 신고 시 유의 사항](https://one.steadyman7.com/wp-content/uploads/2025/01/pexels-photo-29990906-6.jpeg)
증여세 신고 의무자
증여세 신고 의무자는 증여자와 증여수수자입니다. 증여사실이 발생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증여세 신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증여세 신고 대상
증여금액이 3억 원 이하
- 증여자와 증여수수자가 2촌 이내의 친족이 아닌 경우
증여금액이 1억 원 이상
- 증여자와 증여수수자가 2촌 이내의 친족인 경우
증여세율
증여세율은 증여금액과 증여자와 증여수수자의 관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구체적인 증여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관계인
- 1억 원 이하: 10%
- 1억 원 초과: 50%
-
2촌 이내 친족
- 3억 원 이하: 15%
- 3억 ~ 5억 원: 25%
- 5억 ~ 10억 원: 35%
- 10억 원 초과: 45%
증여세 공제
일부 증여는 증여세가 공제됩니다. 공제 대상이 되는 증여에는 다음이 있습니다.
- 교육비 또는 의료비 지원
- 결혼이나 출산 축하금
- 재해 복구금
- 저소득층 지원금
증여세 신고 절차
증여세 신고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증여세 신고서 작성
- 국세청 홈페이지나 세무서에서 증여세 신고서 양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증여세 신고서는 증여자와 증여수수자 모두 작성해야 합니다.
-
증거서류 첨부
- 증여 계약서, 증여 증명서, 입금 내역서 등 증여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서류를 첨부해야 합니다.
-
증여세 납부
- 증여세 신고서를 제출하면 국세청에서 증여세 납부서를 발급합니다.
- 증여세는 신고서 제출일부터 3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온라인 증여세 신고
국세청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증여세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고를 하면 세무서 방문 없이 편리하게 신고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 신고 시 유의 사항
증여세 신고 시 다음 사항에 유의하세요.
- 제때 신고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허위 신고를 하면 벌금이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증여세 납부를 방기하면 증여자의 재산에 대해 압류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증여세 신고는 복잡한 절차일 수 있습니다. 증여세 신고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세무사나 세무서에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