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은 근로자들이 받을 수 있는 의료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실업보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질병이나 상해, 실직 등 다양한 상황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확인서를 발급받는 것은 자신의 보험 가입 여부와 혜택 내용을 확인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가입확인서 발급 방법
가입확인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 조회
- 의료보험: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https://www.nhis.or.kr)에서 ‘증명서 발급’ → ‘개인별 가입 및 납부확인서’ 메뉴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국민연금 홈페이지(https://www.nps.or.kr)에서 ‘온라인 서비스’ → ‘공인인증 발급’ → ‘연금내역조회’ 메뉴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산재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공단 홈페이지(https://www.kcomwel.or.kr)에서 ‘보험혜택정보’ → ‘내보험확인서발급’ 메뉴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실업보험: 고용보험공단 홈페이지(https://www.ei.go.kr)에서 ‘보험혜택’ → ‘보험료공제’ → ‘보험료공제현황조회’ 메뉴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전화 문의
- 건강보험공단: 1577-1000
- 국민연금: 1355
- 산업재해보상보험공단: 1330
- 고용보험공단: 1350
방문 문의
가입확인서는 각 보험 기관의 사무실이나 지사를 방문하여 발급받을 수도 있습니다.
가입확인서 내용
가입확인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의료보험 가입확인서
- 성명
- 생년월일
- 주민등록번호
- 보험가입일
- 급여월액
- 보험료 납입 현황
- 건강검진 수검 이력
- 향후 급여예상금액
국민연금 가입확인서
- 성명
- 생년월일
- 주민등록번호
- 가입일
- 연금가입기간
- 납입한 기준급여액 총액
- 납입한 총 보험료액
- 수령예정 연금액
산재보험 가입확인서
- 성명
- 생년월일
- 주민등록번호
- 가입일
- 사업장명
- 업종
- 보험가입기간
- 보험급여 현황
실업보험 가입확인서
- 성명
- 생년월일
- 주민등록번호
- 가입일
- 급여월액
- 보험료 납입 현황
- 실업급여 수령 내역
활용 방법
가입확인서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주거마련: 주택구매나 임대 시 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증빙 서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자녀 학자금 대출: 학자금 대출 시 보험 가입 내역을 확인하는 서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전직 시 보험 이관: 직장을 바꿀 때 이전 사업장에서 가입했던 보험의 혜택을 이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혜택 신청: 의료비나 연금 등 보험 혜택을 신청할 때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서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입확인서는 자신의 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증빙 서류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서류이므로 항상 잘 보관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