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인 건강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실업보험은 우리나라 국민이 의료, 노후, 산재해, 실업 등 다양한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한 필수적인 사회보장 제도입니다. 이러한 보험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금액을 납부해야 하며, 납부금액은 개인의 소득과 가족 구성원의 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정확한 납부금액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보험료 납부금액 확인
건강보험료는 소득과 거주 지역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거주 지역이 대도시일수록 건강보험료가 높습니다. 건강보험료 납부금액은 국민건강보험공단(NHIS) 웹사이트(https://nhis.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메인 페이지에서 ‘납부문의’ > ‘납부금액 확인’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 주민등록번호
- 생년월일
- 거주 지역
정보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연도의 납부금액과 납부 기한이 표시됩니다.
국민연금 납부금액 확인
국민연금 납부금액은 소득과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국민연금 납부금액이 높습니다. 국민연금 납부금액은 국민연금공단(NPS) 웹사이트(https://www.nps.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메인 페이지에서 ‘개인>내 연금 통장’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 주민등록번호
- 생년월일
정보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연도의 납부금액과 납부 기한이 표시됩니다.
자영업자의 국민연금 납부금액 확인
자영업자의 경우 국민연금 납부금액은 소득과 납입구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납입구분이 1급이 되면 국민연금 납부금액이 높습니다. 자영업자의 국민연금 납부금액은 국민연금공단 웹사이트의 ‘자영업자>납입금 계산>납입금 납부 안내’ 페이지(https://www.nps.or.kr/biz/insure/pay/pay01.do)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에서 해당 연도와 1급/2급 납입구분을 선택한 후, 소득을 입력하고 "계산" 버튼을 클릭하면 납부금액이 표시됩니다.
산재보험료 납부금액 확인
산재보험료는 직종과 임금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위험한 직종일수록, 임금이 높을수록 산재보험료가 높습니다. 산재보험료 납부금액은 산업안전보건공단(OSHA) 웹사이트(https://www.safekore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메인 페이지에서 ‘고용주>사업주 개인>산재보험>납부금액 확인’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 사업장등록번호
- 주민등록번호
- 생년월일
정보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연도의 납부금액과 납부 기한이 표시됩니다.
실업보험료 납부금액 확인
실업보험료는 임금과 직종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임금이 높을수록, 실업보험료가 높습니다. 실업보험료 납부금액은 고용보험사업단(ESB) 웹사이트(https://www.esb.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메인 페이지에서 ‘개인>납부확인’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 주민등록번호
- 생년월일
정보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연도의 납부금액과 납부 기한이 표시됩니다.
결론
4대보험의 납부금액은 개인의 소득, 가족 구성원의 수, 직종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확한 납부금액을 확인하려면 각 보험 담당 기관의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해당 정보를 입력하여 조회하는 것이 좋습니다. 납부금액을 정확히 확인하고 납기일을 준수하는 것은 사회보장 혜택을 원활하게 받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